2012. 7. 13. 17:02ㆍ07.암벽정보
원효봉릿지...
개요: 상운암-원효봉-염초봉-백운대로 이어지는 암릉.
접근로 : 서문안코스를 따라 위문으로 오르다가 만나게 되는,상운암과 위문이 갈라지는 삼거리에서 계곡을 건너 상운암
쪽으로 약100m정도가서 왼쪽의 소나무 숲으로 접어들면 원효봉암릉 시작지점인 상운암슬랩이나온다. (입구 매표소에서
포장길을 버리고 왼쪽의 계곡길로 들어서서 조금 오른후 시구문 쪽으로 접어들어 원효봉으로 오를 수도 있다)
접근로보기1 접근로보기2 접근로보기3
|
|
|
|
원효봉리지 전경 |
|
등반길잡이
상운암슬랩은 60도 정도의 경사를 이루고 있으나 보기와는 달리 표면이 거칠어 의외로 쉽게 오를 수 있지만 바위에 자라고
있는 소나무를 제외하고는 확보물이 없어 추락사고의 위험이 높은 구간이다. 경험자가 앞서 오른 다음 확보후 후등자가
올라야 한다. 20 m슬랩에 이어 30m슬랩을 마치고 나면 원효봉 중간의 소나무숲지대에 닿는다. 소나무숲이 끝나는 지점에 도착하면
정상으로 이어지는 암벽이 보인다. 이 구간은 바위면에 띠를 이룬 밴드(약 7m)와 크랙을 이용해 올라야 한다. 고도감이
있는 구간으로 밴드를 밟는 것보다 손으로 잡고 이동하는 것이 더욱 안전하다.
밴드가 끝날 즈음 밑으로 연결된다. 아무런 지지물없이 균형이 깨지기 쉬운 지점이다. 밴드가 끝나기 직전의 볼트를 잡고
내려서면 한층 쉽지만, 볼트의 상태가 매우 나쁘므로 무리하게 힘을 주면 안 된다. 이어 상단부 소나무까지 오른 다음
요철이 뚜렷한 곳을 따라 오르면 정상에 닿는다. 원효봉 정상에서 염초봉 중단부까지는 평범한 산성길로 이어진다.
본격적인 암릉산행은 세 개의 암봉으로 이루어진 염초봉 첫번째 봉을 오르면서 시작된다. 능선 사면으로 이어지던
등산로는 수직의 바위벽 중간으로 가로지르다 직상 크랙을 통해 첫번째봉으로 이어진다.
두 번째 봉으로 가려면 약 7m 높이의 크랙을 타고 내려가거나 자일하강해야 한다. 첫번째 봉을 내려선 다음 염초봉
정상인 두번째 봉으로 가는 길은 두 가닥이다. 왼쪽은 크랙을 타고 올라야 하고, 오른쪽으로는 밴드를 따르다 '구멍바위'를
통해 정상으로 오르는 길이 있다.
두 번째 봉 정상에서 7m 높이의 벽에 나 있는 크랙을 타고 내려선 다음 크랙을 이용해 세번째봉을 통과하면 또다시
도보능선길이 나온다.
이후 도보능선길은 백운대에서 뻗어내린 능선과 만나는 안부까지는 이어진다.
숨은벽암릉과 인수봉이 한눈에 들어오는 안부에서 백운대 정상까지는 거의다 크랙으로 이루어져 있다.
백운대 연봉중 첫번째 봉의 초반부 크랙은 2~3m 높이에 불과하지만, 크랙을 잡아당기는 순간 몸이 뒤로 살짝 젖혀지는
데다 추락시 크랙으로 빠져들 위험이 있으니 조심스럽게 올라야 한다.
두 번째 봉을 오르다보면 원효리지에서 가장 사고가 많이 일어나는 '말바위'가 나온다. 평범한 슬랩이지만 바위면이
매끄럽고 추락시 절벽 아래로 떨어져 크게 다치곤 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을 지나면 수직 크랙이 나타난다. 완력과
경험을 필요로 하는 구간으로 자신이 없는 사람은 오른쪽 크랙으로 내려선 다음 바위틈을 따라 암릉 날등으로 진입한다.
두 번째 봉 정상 직전에 이르러서는 왼쪽 크랙을 타고 내려가거나, 정상까지 오른 다음 백운대쪽으로 자일 하강해야 한다.
자일하강 경험이 없는, 초보자들이 많은 팀은 크랙을 타고 내려가는 게 좋다. 크랙을 타고 내려가는 길은 반침니형태를
이룬 곳과 단순한 수직 크랙으로 돼 있는 곳 등 두 갈래가 있다. 어느 쪽이든 반드시 자일 확보한 상태에서 내려가야 한다.
크랙을 내려선 후 바위를 끼고 오른쪽으로 돌면 이 코스를 상징하는 개구멍바위가 나타난다. 너무 안쪽으로 들어가면 힘이
점점 많이 들고 균형이 깨지니 가능한 한 밖으로 나와 포복하듯 넘어선다.
개구멍바위를 지나면 두번째 봉에서 자일하강해 내려오는 안부에 이른다. 이후 크랙을 타고 30여m 오르면 백운대 정상이다.
염초봉에서부터 백운대까지 가는 데 암릉을 피해 돌아갈 수 있는 길이 별로 없다. 때문에 사람이 많을 때 우회로를 찾겠다고
덤비다가는 자칫 사고를 당할 수 있으니 차분하게 순서를 기다리는 것이 안전하다. 사람이 밀리지 않으면 원효봉∼염초봉
∼백운대 암릉 구간을 돌파하는 데는 3시간 정도 걸린다.
원효릿지에서 어려운 곳은 크게 세 곳을 들 수 있다.
염초봉 정상에서 4미터 가량 내려가는 V자 형의 바위, 말바위 크랙과 개구멍, 말바위에서 50미터 후에 있는 개구멍 바위가
그곳이다. 이곳에서는 리더가 먼저 올라 초심자들의 확보를 봐주어야 한다.
이밖에도 높이는 얼마 되지 않지만 까다로운 곳들이 가끔씩 나타난다. 키높이 이상되는 곳은 별로 없으므로 리더가 먼저
올라서서 손을 잡아 끌어주거나 테이프 슬링 등으로 확보를 해주는 것이 좋다.
원효릿지를 오르는 데 필요한 장비는 릿지화, 안전벨트, 하강기, 확보줄, 보조 자일(혹은 테이프 슬링) 20미터면 충분하다.
그러나 이 릿지를 오르는 대부분의 산행객들은 빈 몸으로 오는 경우가 많아 사고가 많이 일어난다. 자신의 등반 실력을
절대 과시하지 말고 최대한 안전에 신경을 써가며 산행을 해야 한다.
|
|
|
북문 삼거리 안내판(북문쪽100m전진후 왼쪽능선) |
상운암 슬랩2피치 |
원효봉 정상 바로 아래부분 |
|
|
|
원효봉 중단 밴드 트래버스 구간 |
염초봉 정산(V자바위) |
염초봉 시작부(밴드를 타고 오른다) |
|
|
|
염초봉 구멍바위(우회로) |
염초봉 정상에서의 다운 |
백운대 제2봉의 수직크랙 우회하는 밴드길 |
|
|
|
백운대 연봉중 2번째 봉(수직크랙) |
백운대 2봉 15m하강루트 |
백운대 구간 마지막 관문 "개구멍바위" |
| ||
백운대직전에서본 원효릿지(1그림 클릭) |
말바위크랙구간(2그림 클릭) |
염초봉정상(V자바위) |
|
|
1그림:백운대 직전에서 본 원효릿지의 핵심 |
말바위 다음 봉우리에서 5m하강 |
원효봉 오르는 길의 바위턱 |
|
'07.암벽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산(北漢山) 만경대릿지 (0) | 2012.07.13 |
---|---|
북한산(北漢山) 숨은벽릿지 (0) | 2012.07.13 |
천등산(완주) 민들레릿지 (0) | 2012.07.13 |
천등산(완주) 어느등반가의 꿈 (0) | 2012.07.13 |
동석산(진도) 동석산릿지 (0) | 2012.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