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등반지식

크랙등반 재밍 테크닉

이대겸 2012. 12. 30. 23:58

 

 

 

 

 

크랙등반 재밍 테크닉

 

 

 

 

링록(Ringlocks)

 

래칫(ratchet)보다 한사이즈 아래인 것이 우리를 두렵게 만드는 Dreaded'링록'이다.

이때는 검지,중지,그리고 무명지에 테이프를 반드시 감아야 한다.

두개의 관절모두를  필히 덮어야하며 너무 두껍게 감지 말아야 한다.

링롤크랙을 올라가려면 손가락으로 "OK"사인을 만든다.

그런다음 엄지를 검지와 중지밑에 끼워서 두손가락끝이 엄지를 누르도록 해야한다.

캠역할을 하는것은 검지와 중지의 관절 그리고 손 바로 위의 엄지다(그래서 손가락테이핑필요)

이사이즈에선 평행이동 교차이동이 똑같이 효과적.고리모양의 (ring) 손가락을 만들기 어려우면 손을 엇갈려 움직여본다.

링록이 어려운점은 크랙속에 암벽화를 집어 넣을수가 없다

발동작은 발비틀어 돌리기(foot torque)를 대단히 정확히 해야한다.

새끼발가락 또는 작은 발가락을 정밀하게 집어넣어 발가락을 비틀되 두발이 가까이 있어야한다.

몸자세는 플리에리(plie)자세를 취하는 발레리나 혹은 개구리와 같은 모습이어야한다

 

래칫(Ratchet)

래칫크랙은 얇은손보다 작으며 난이도가 한단계높다.

이 사이즈크랙은 꽤좁아서 재밍동작으로 하면 엄청나게 폄핑이 오거나 좌절감을 맛볼수있다.

래칫을 등반할때는 두손모두 엄지를 아래로 향하게 한다.손을 크랙과 평행하게 끼운다.

손가락들 아래에 엄지를 굽혀 붙이고 팔꿈치를 쭉펴고 바깥쪽을 향하게하고 팔꿈치를 갈비뼈쪽으로 당긴다.

손가락테이핑은 필수며 검지의 첫번째바로뒤의 지점과 엄지관절 바로밑의 지점사이에서

캐밍작용(camming action)이 생겨야 한다.

 

 

얇은 손크기의 크랙 (Thin-hand crack)

 

손바닥안에 엄지를 넣어 고정시키지 못할정도로 깊이 들어가지않는 재밍이다.

그래서 엄지손가락을 굽히고 위쪽손은 엄지를 아래로 향하게하고 아래쪽손은 엄지를 위로 향하게 함으로

지지력을 얻는다.손이 관절뒤 약 2.5cm에서 잡는 자세를 취하게 된다

Thin-hand crack 자세는 발동작이 중요하다.

첫번째 발을 비틀어 박은 다음 즉시 다른쪽 발을 무릎높이에 갖다 놓는다.

이렇게해야 손에 부담이 안가며 몸이 균형유지에 도움이된다.

 

 

래틀리 핑거스 (Rattly Fingers)

 

 

엄지손가락이 들어가지 않을정도의 크랙으로 손가락이 들어갈수있는데까지 크랙속으로 넣고 엄지를 아래로 향하게하고 놓는다.

팔꿈치를 안쪽으로 당긴다.손가락이 빠져나오기 전까지 비튼다.링록 동작처럼 엄지를 굽히거나 크랙에 대고 누룰수 있다.

 

손끝크랙 (팁스록-Tips locks)

 

 

 

 

손바닥 손등 테이핑 방법

 

 

 

도랫굽이 

 http://blog.daum.net/ami41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