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충사(밀양) 매바위

2012. 7. 13. 17:3007.암벽정보

매바위......................

                                                                                                                         http://www.hbalpine.com
 

매바위 소개

    1. 위치 : 표충사 사자봉의 지능상에 위치하며 표충사 매표소 촤측에 있는 매바위마을에서 걸어서 30분 정도에 위치하고
                    있다. (행정상의 위치 :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2. 해발고도 : 600m

   3. 암장형태 : 성곽형

   4. 암 장 : 변성암

   5. 암장의 크기 : 높이 = 최대 150m      폭 = 약 2,000m

   6. 매바위의 유래 : 마을 뒤쪽 산에 매와 같이 생긴 바위가 있다하여 매바위라 하였고 그 마을이름도 매바위마을이 되었다
                                 한다. 또 매바위에는 실제로 매가 살고 있다. ('밀양문화원 향토사' 참조)

   7. 매바위에 얽힌 이야기 : 마을주민들로부터 발췌한 매바위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일제시대 때 일본인이 지금의
                                매바위 동굴 속에 보물이 숨겨져 있다 하여 그것을 캐러 올라갔더니 보물이 매로 변하여 날아가 버렸
                                다고 하여 매바위라 한다고 함.

 

 

 

매바위 전경

 


  매바위 길잡이

     1. 대중 교통편

          1) 밀양 → 표충사     :06시20분(첫차) ~ 20시10분(막차) : 매 시간당 2편

          2) 표충사 → 밀양   :07시 05분(첫차) ~ 20시20분(막차) : 매 시간당 2편

          3) 석남사 → 금곡리 : 08시 40분 ~ 18시40분(막차) : 매시간당 1편

          4) 금곡리 → 석남사 : 07시20분 ~ 17시40분(막차) : 매 시간당 1편

    2. 자가용 교통로

          울산, 경주지역 → 언양 → 금곡리 → 표충사

           마산, 진주, 부산, 대구지역 → 밀양 → 금곡리 → 표충사

    3. 숙박

        표충사 입구 : 여관 10개정도

        매바위마을 : 민박 20개정도

        표충사매표소 가기전에 공영무료주차장과 야영장(식수대, 화장실)이 있음.

 

 매바위 마을주민의 요청사항 및 유대관계

     1.식수원 보호 문제

            매바위 마을의 식수는 현재 매바위 캠프지로 조성해 놓은 곳에서 흘러 내려가는 것이 유일한 것이므로 이 물의
            오염은 마을주민에게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 시킨다.

             준수사항 : ① 계곡 및 캠프지에서 세제사용 및 세탁금지

                             ② 캠프지에 조성한 화장실 외의 장소 사용금지

                             ③ 쓰레기 및 기타 오염물질 투기금지

      2. 염소방목장 문을 필히 닫은 후 잠궈 줄 것

      3. 유대관계 ① 주차문제 : 매바위 마을의 소로는 차량왕래가 불편하므로 마을안으로의 진입을 금지하고 주차 및 야영은
                            매표소 밑 공영주차장과 야영장(무료)을 이용할 것.

                        ② 마을 주민과 마주치면 먼저 인사 건네기

 

매바위 개척목적

     1. 개척등반을 통해 울산대학교산악회의 기상을 널리 펼침과 동시에 선·후배간의 우애와 화합을 도모함.

     2. 진입이 용이하고 신 코스의 암벽훈련장을 개발함으로서 울산 및 영남지역 산악문화 발전에 기여함.

     3. 암벽개척의 기술을 개발·증진·축적하여 등반력을 향상함.

     4. 현재 성행되는 짧은 길이(10m내외)의 Top-Roping등반에서 나타난 정신적 해이함을 탈피, 긴 길이와 고도감 있는
        등반을 통한 등반의 순수성과 진지함을 추구함.

  

매바위 암질 분석

     1.생성시기 : 중생대 백악기(약 1억년 전)

    2. 지     층 : 정상계 지층

    3. 암     질 : 약 1억년 전에 퇴적암(shale)에 화산이 분출하면서 마그마의 접촉을 받아 그 열로 인하여 변화된
                           변성암(Hormfels)이다.

                         *이 변성암은 조직이 치밀하고 견고해서 풍화에도 강하다.<자료제공 : 울산학성고등학교 교사 우원주>

 

매바위 암장의 특징

      1. 지리적 특징

           영남지역 도시(울산, 부산, 마산, 대구)에서 교통적으로 중심지역에 있음.(차량으로 1시간 30분 이내 도착)

     2. 자연적 특징

          ① 매바위까지의 등산로와 매바위 주의 경치가 아름답다.

          ② 암장이 크고 수려하여 보는이를 압도한다.

          ③ 낙엽송이 많아 뚜렷한 사계절을 느낄 수 있다.

          ④ 암장근처에 재약산 수미봉, 사자봉이 있어 Walking과 Climbing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

          ⑤ 실제 매가 서식하고 있어 매바위 이름의 가치를 더 느낄 수 있다.

      3. Camp Site 특징

          ① 넓은 Camp Site와 식수, 화장실 그리고 전망대를 갖추고 있어 편리하고 쾌적하다.

           ② 지형적으로 Camp Site에서만 막영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산악회들산 교류할 수 있는 친화성을 가지고 있다.

     4. 암벽 코스 특징

           ① 등반 코스가 자연스럽다.

           ② 암벽전체에서 볼 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등반난이도, 등반길이, 고도감이 높아진다.

           ③ 등반볼트와 확보볼트가 양호하다.

           ④ 전문적인 등반훈련과 해외 등반(거벽) 훈련지로 적합하다.

  

매바위 등반의 필수사항 및 참고사항

      1. 낙석에 대비하여 모든 등반자는 헬멧착용 필수

      2. 모든 등반자는 등강기 혹은 프리직 매듭용 로프슬링휴대 필수

      3. 하강용 자일 1동(50m 이상) 휴대 필수

      4. 한달이상 비가 오지 않고 가물 때에는 매바위 캠프지 식수원이 마를 수 있음 - 식수는 마을쪽 계곡에서 구해야함

      5.염소가 방문하여 먹어치우고 흩어 놓을 수 있으므로 캠프지를 비울 때는 식량과 장비를 잘 정리하고 포장해 두어야 함

 

                             <<   접근로보기   접근로2      지형도보기  >>

       루트소개

 

코스명

난이도

등반길이

소요장비

비고

1

신화창조

5.9/5.10a

75m

퀵드로 10개

 

2

도란도란

5.9

65m

퀵드로 8개

 

3

날개길

5.9/5.10c

85m

퀴드로 13개, 너트

헬멧착용

4

달빛흐르는 길

5.9~5.11a

105m

퀴드로 8개,

헬멧착용

5

울대길

A0/5.10a/5.9

90m

퀴드로 20개,

헬멧 착용

6

정공길

5.9

27m

퀵드로 4개

 

7

왕우의 꿈

5.10a

31m

퀵드로 6개

 

8

개척길

5,9

40m

퀵드로 7개

 

9

박쥐길

5.10a

40m

퀵드로 8개

 

 

**참고사항 : 매바위에서 몇 번의 등반사고 및 마을 식수로 쓰는 캠프싸이트 근처시냇물 오염으로 인해 지금은 마을에서
                 입산과 등반을 모두 금지시키고 있다.  혹 운좋게 등반허가를 받게 되거나 등반이 가능하게 되면 주위 청소나
                 식수오염에 최대한 신경을 써서 울산 최대의 암장을 계속 유지해 나갔으면 하는 바램이다.

'07.암벽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약산(밀양) 적벽  (0) 2012.07.13
아미산(경북,군위) 석산암  (0) 2012.07.13
유학산 학바위  (0) 2012.07.13
금정산(부산) 암장  (0) 2012.07.13
천태산 암장  (0) 2012.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