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네스에 카라비너 거는 법
2012. 7. 24. 00:31ㆍ06.등반지식
안전밸트에 카라비너 거는 법
안전벨트에 카라비너를 걸만한 방법은 딱 세가지입니다.
|
|
이 중에 어느 방식을 택할까는 썰이 분분합니다.
그런데 그것을 결정하는 건 우리가 아니라 카라비너에 달려있습니다.
카라비너는 가로로 힘을 받으면 쥐약입니다.
uiaa의 최소기준도 장축은 22kn이지만 가로로는 기껏해서 4kn에 불과합니다
4kn은 대략 400kg을 말합니다.
그런데 책에 의하면 체중이 70kg인 사람이 10m를 자유낙하하면 약 7000kg의 에너지가 발생합니다. 대단하죠?
(물리학을 몰라서 그렇지만 70kg인 사람이 1m를 자유낙하하면 약 700kg?????)
등반중에 추락하면 여러가지 충격흡수 요소(로프, 확보물, 확보자) 때문에 상당부분 충격이 흡수됩니다만
그런데 그것을 결정하는 건 우리가 아니라 카라비너에 달려있습니다.
카라비너는 가로로 힘을 받으면 쥐약입니다.
uiaa의 최소기준도 장축은 22kn이지만 가로로는 기껏해서 4kn에 불과합니다
4kn은 대략 400kg을 말합니다.
그런데 책에 의하면 체중이 70kg인 사람이 10m를 자유낙하하면 약 7000kg의 에너지가 발생합니다. 대단하죠?
(물리학을 몰라서 그렇지만 70kg인 사람이 1m를 자유낙하하면 약 700kg?????)
등반중에 추락하면 여러가지 충격흡수 요소(로프, 확보물, 확보자) 때문에 상당부분 충격이 흡수됩니다만
400kg이라고 해봤자 별게 아닙니다.
찬찬히 살펴보겠습니다.
1. 아래위로 거는 경우
확보줄은 이렇게 아래위로 거는게 좋습니다. 사진중의 확보줄을 카라비너라고 생각해주세요.~
카라비너를 아래위로 걸면 사진처럼 아래위고리가 달라붙어서 처음엔 카라비너 장축으로 힘이 걸립니다.
카라비너를 아래위로 걸면 사진처럼 아래위고리가 달라붙어서 처음엔 카라비너 장축으로 힘이 걸립니다.
하지만.이리저리하다보면 마치 배를 뒤집은 물고기처럼 됩니다..
가로로 힘을 받아 숨을 깔딱깔딱대는 물고기처럼...- 따라서 이 방식은 권할만하지 않습니다.

위의 사진을 돌려보면...해골그림(해서는 안되는)인 미국식 죽음의 삼각형과 동일한 모양새입니다. 충격을 세지점에 증폭시키는,,, |
아래위(허리고리 + 다리고리)는 자일을 묶고, 확보줄을 묶는 용도입니다.
2. 위고리 + 빌레이 루프
2. 위고리 + 빌레이 루프
이 방식은 카라비너가 도는 현상은 막을 수 있지만...본질적인 문제 : 위의 고리(허리고리)에만 충격이 간다는 거죠
안전벨트의 주 용도는 충격의 분산입니다. 허리와 다리에.그것도 가급적이면 다리에 많이 가도록 말이죠.
그런데 위와 같은 방식은 허리에만 충격을 주는 (만성적으로^^) 방식입니다.
또한 빌레이고리(belay loop)가 생긴 까닭을 살피지 못한 방식입니다.
3. 빌레이 고리에만
그런데 위와 같은 방식은 허리에만 충격을 주는 (만성적으로^^) 방식입니다.
또한 빌레이고리(belay loop)가 생긴 까닭을 살피지 못한 방식입니다.
3. 빌레이 고리에만
빌레이 고리는 강합니다. 1의 약점(카라비너가 도는 거)과 2의 단점(충격이 허리에만)을 해결해주는 ...
그렇지만, 이 방식에 무턱대고 맡겨놓아서는 안됩니다.
똑같이 카라비너가 돌 수가 있으니까요.
이렇게요. 하강할 때나 빌레이볼때 이런 현상이 생깁니다. 바로 이 때 선등자가 추락을 하거나 하면..
하강을 하다가 테라스에서 잠시 멈추었다가 다시 하강할 때
빌레이보다가 줄이 느슨해지거나 하면 자주 발생합니다.
따라서,
빌레이보다가 줄이 느슨해지거나 하면 자주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렇게 막비너를 하나더..
자동잠금비너는 잠금만 자동으로 한다 뿐이지, 이렇게 비너가 도는 현상을 막지 못합니다.
따라서 가능한 모든경우에 막비너 하나를 반대 방향으로 더 걸어 주어야 합니다.
중간자 매듭으로 등반할 때,
인공암장에서 몸자매듭하지 않고 카라비너에 팔자매듭을 할 경우
빙벽장에서.
이러지 못할 경우 - 하강할 때나 빌레이 볼때엔 자주 눈길을 주어서 확인해야 합니다.
이런 경우를 막기 위해서 만들어진 장비가 있으니 고려해볼만 합니다.
제생각으론 앞으로 이문제를 해결하는게 안전벨트의 제일 문제입니다
따라서 가능한 모든경우에 막비너 하나를 반대 방향으로 더 걸어 주어야 합니다.
중간자 매듭으로 등반할 때,
인공암장에서 몸자매듭하지 않고 카라비너에 팔자매듭을 할 경우
빙벽장에서.
이러지 못할 경우 - 하강할 때나 빌레이 볼때엔 자주 눈길을 주어서 확인해야 합니다.
이런 경우를 막기 위해서 만들어진 장비가 있으니 고려해볼만 합니다.
제생각으론 앞으로 이문제를 해결하는게 안전벨트의 제일 문제입니다
카페 >안동 일공 클라이밍클럽
|
글쓴이 : 배원대
'06.등반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반자 추락시 확보 방법 (0) | 2012.07.24 |
---|---|
자기확보(self belay) (0) | 2012.07.24 |
튜브형 하강기 종류와 사용법 (1) | 2012.07.24 |
매듭법 클보브히치(Clove Hitch) (0) | 2012.07.24 |
등반신호 (0) | 2012.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