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3. 21. 01:17ㆍ03.워킹산행
속리산 [俗離山](1,058m)
위치 :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과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경계에 있는 산
산행일 : 2013년 03월 16일. 토요일
산행코스 : 도화리->천왕봉->비로봉->신선대->문수봉->문장대->법주사 (약14km)
산행시간 : 천천히 8시간
날씨 : 맑고 따뜻한 봄날씨 (최고13도)
( 경인웰빙 산악회 원정 토요산행 )
◈ ◈ ◈ ◈
속리산 [俗離山]
법주사가 창건된지 233년만인 신라선덕왕 5년(786년)에 진표율사가 김제 금산사로부터
이곳에 이르자 들판에서 밭갈이하던 소들이 모두 무릎을 꿇고 율사를 맞았는데,
이를 본 농부들이 ‘짐승들도 저렇게 뉘우치는 마음이 절실한데 하물며 사람에게 있어서랴’하며 머리를 깎고
진표율사를 따라 입산수도하는 사람이 많았다는 데서 연유하여 “속세를 떠난다”는 뜻으로
산 이름을 속리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신라의 순례자 최치원이 “도(道)는 사람을 멀리하지 않으나 사람이 이를 멀리하고,
산은 세속을 떠나지 않는데 세속이 산을 떠나네...”라고 읊기도 한 세속을 여읜 멧부리, 이것이 속리산이다.
속리산은 영검한 산신이 머무는 곳으로 섬겨져 「동국여자승람」은 일찍이 속리산 천왕봉에 천왕사라는 사당을 두어
산신제를 거행했던 사실을 기록하고 있으며, 그 산신제는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조선조의 난폭한 군주 세조가 몹쓸 병을 고치기 위해 구불텅 구불텅 가파르게 휘어진 말티고개를 넘어 속리산으로 들어왔고,
그 전에는 조선왕조를 개창한 이성계가 속리산에 엎드려 백일기도를 올렸으며,
구한말 순조의 탯줄이 이 산에 묻혔다.
◇ ◇ ◇ ◇ ◇
높이 1,058m. 소맥산맥에 속하며, 주위에 도장산(道藏山 : 828m) 등이 있다.
북서쪽에 솟은 묘봉(874m)에서부터 남동방향으로 관음봉(985m)·문장대(1,033m)·입석대·비로봉·형제봉(803m) 등이 이어져 있으며,
서쪽으로는 수정봉(水晶峰)·태봉(胎峰)이 천왕봉과 연이어져 있다.
한국의 8경(八景) 가운데 하나이며, 소금강산·구봉산·광명산 등으로도 불린다.
비교적 산세가 험하며 웅장하다. 기반암은 화강암·변성퇴적암이다.
기암고봉, 울창한 수림, 깊고 수려한 계곡, 폭포 등의 뛰어난 자연경관과 법주사를 비롯한
수많은 문화유적 등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이 일대가 1969년에 국민관광지로, 1970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1984년 충청북도 괴산군의 화양동도립공원이 국립공원에 편입되어 총면적은 283.4㎢에 이른다.
일반적으로 보은 속리산이라고도 하는데, 상주 속리산 쪽이 널리 알려지지 않은 것은 법주사와 같은
유서깊은 사찰이 없고 교통·숙박시설 등이 불편하기 때문이다.
상주시에 속하는 문장대는 공원 내 최고의 명소이며, 정상에는 50여 명이 앉을 수 있다.
법주사는 수정봉과 태봉의 산능이 닿는 곳에 있으며, 한국 거찰의 하나로서 법주사 일원은 사적 및 명승 제4호로 지정되었다.
경내에는 대웅전·법주사쌍사자석등(法住寺雙獅子石燈 : 국보 제5호)· 법주사팔상전(法住寺捌相殿 : 국보 제55호)·
법주사석련지(法住寺石蓮池 : 국보 제64호)· 법주사사천왕석등(法住寺四天王石燈 : 보물 제15호)·
법주사마애여래의상(法住寺磨崖如來倚像 : 보물 제216호)과 동양 최대의 철근 콘크리트 입불상인 미륵불상 등이 있으며,
속리의 정이품송(正二品松 : 천연기념물 제103호)과 보은 속리산의 망개나무(천연기념물 제207호)가 자라고 있다.
탈골암이 법주사 위쪽 높이 약 560m에 위치하며, 그밖에 복천암·중사자암·상환암 등 많은 절과 암자가 있다.
문장대를 제외한 봉우리들은 보은 쪽에 있고, 은폭동과 용유동계곡·쌍룡폭포·오송폭포·
장각폭포·용화온천 등의 명소들은 상주 쪽에 있다.
괴산군 청천면에 위치한 화양동계곡은 화양동구곡(華陽洞九曲)과 선유동구곡(仙遊洞九曲)으로 나뉜다.
화양천을 따라 경천벽·운영담·금사담·첨성대 등이 좌우로 산재해 있으며, 하얀 돌 위로 흐르는 맑은 물, 울창한 숲의 조화가 절경을 이룬다.
선유동구곡에는 선유동문·경천벽·학소암·은선암 등이 있다.
유적지로는 보은군 쪽에 삼년산성(사적 제235호)이, 상주 쪽에 견훤성이 있다.
◇ ◇ ◇
등산로는 법주사-세심정-복천암-중사자암-문장대-경업대-비로산장-세심정-법주사,
법주사-세심정-비로산장-상고암-천황봉-상환암-세심정-법주사,
고교리-7층석탑-천황봉-문장대-매표소-장암리 이어지는 등산로가 있다.
▲ 산행코스참조
속리산 갤러리1
'03.워킹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룡산(鷄龍山/845m) 관음봉(觀音峯/816m)2 (2013.03.23) (0) | 2013.03.29 |
---|---|
계룡산(鷄龍山/845m) 관음봉(觀音峯/816m)3 (2013.03.23) (0) | 2013.03.29 |
속리산(俗離山) 천왕봉(天王峰/1,058m)2 (2013.03.16) (0) | 2013.03.21 |
욕지도(欲知島) 연화도(蓮花島) 통영 무박산행1 (2013.03.02) (0) | 2013.03.11 |
욕지도(欲知島) 연화도(蓮花島) 통영 무박산행2 (2013.03.02) (0) | 2013.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