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강 안전장치 (푸르지크매듭과 션트사용)

2012. 7. 29. 13:4506.등반지식

 

 

안전보강

 

하강 경험이 많지 않은 초보자가 하강을 하거나,내려가보는 하강길,

안개가 깔려 아래를 볼 수 없거나 밤에 하강을 해야할 때 같이 위험스런 하강을 해야할 때는,

멈춘 손을 놓칠 경우에 대비해서 안전 보강을 해야 한다.

사실 제동 손이 놓치는 일은 얼마든지 생각해 볼 수 있다.

하강하다가 번개나 떨어지는 돌에 맞거나, 제동 손이 마비되고,

벌에 쏘인다거나 하는 갑자기 일어나는 문제는 경험에 관계없이 일어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안전 보강을 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윗 그림과 같이

확보 뭉치에 걸려있는 위쪽 로프에 프루지크 매듭을 하는 방법이다.

매듭을 하강기구 위에 걸고 안전벨트에 묶은 다음 매듭을 느슨하게

해서 느낌손으로 잡고 아래로 미끄러뜨리며 내려온다.

하강 중에 위험한 문제가 생겼을 때 느낌 손을 놓으면 하강하는 사람 몸무게 때문에

프루지크 매듭이 저절로 조여들고 그 높이에서 로프에 매달리게 된다.

프루지크 매듭을 하기 위해서는 코드 슬링 굵기가

하강 로프 굵기보다 가는 약6~7mm정도 써야 하는데,

웨빙슬링밖에 없을 때는 클램하이스트 매듭을 할 수도 있다.

이때 프루지크 매듭을 한 연결줄이 너무 짧으면 다루기 불편하고 느낌손 팔 길이보다

길면 매달렸을 때 매듭이 손에 닿지 않아 꼼짝할 수 없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안전을 보강하는 방법으로 프루지크 매듭을 쓰는 사람은 사실별로 없다.

걸기 귀찮고 하강중에 걸리적 거리기 때문이다.

또 한번 프루지크 매듭이 꼭 조여들면 다시 느슨하게 하기란 좀처럼 쉽지 않다.

따라서 프루지크 매듭 대신에 그림 6-29a와 같이 하강보조기구인 션트를 쓰면

편리하고 확실한 안전 보강을 할 수 있고.

겨울철에 로프가 얼었을 때 더 안전한 하강을 할 수 있는 좋은 점이 있다.(그림6-29a)

 

주의할 것은 션트는 하강 보조기구일 뿐 션트만을 걸어서 하강을 해서는 안된다.

또 굵기가 다른 로프로 하강할 때는 션트 안에서 얇은 쪽 로프를

확실하게 잡아줄 수 없어 로프가 미끄러질 수도 있으니까

로프 굵기가 다른 때는 션트를 써서는 안된다.(그림6-29c)

 

경험이 적은 사람이나 혹은 다친 사람을 안전하게 하강시키는

또 다른 방법으로 '로프 잡아주기'가 있다.

이 방법은 하강하는 사람 아래에서 멈춤손 쪽 로프를 가볍게 잡아 주기만 하면 하강 속도를

조절하거나 멈출 수 있기 때문에 아주 편리하고 확실한 안전 보장법이지만

맨 처음 내려오는 사람은 이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출처 : 암벽 등반의 세계

 

도랫굽이 http://blog.daum.net/ami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