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둔산(大芚山) 동지(마천대)길 루트 개념도

2015. 2. 13. 16:1507.암벽정보

 

 

 

대둔산

위치 : 충남 금산군 진산면(珍山面)/ 논산시 벌곡면(伐谷面).

높이 : 878m . 주봉 : 마천대

대둔산오대산(五臺山)·월성봉(月城峰)·천등산(天燈山) 등과 함께 노령산맥의 북부 잔구군(殘丘群)을 형성하며,

수십 개의 봉우리가 6km에 걸쳐 솟아 있다.

이 산은 북쪽으로 흐르는 유등천(柳等川), 서쪽으로 흐르는  장선천(長仙川),  남쪽으로 흐르는  벌곡천 등 

금강의  여러 지류에  의하여  화강암반이 동·남·북의 3면에서 오랜 두부침식(頭部浸蝕)을 받아 기암괴석을 이루고 있다.

즉 동쪽과 남쪽은 배치재를 분수령으로하는 유등천과 장선천이 비교적 깊은 협곡을 이루고 이 골짜기를 전주~대전 간 국도가 지난다.
대둔산에는 태고사(太古寺)·안심사(安心寺)·신고운사(新孤雲寺) 등의 사찰이 있었으나  6·25전쟁으로 소실되었고,

최고봉인 마천대(摩天臺)·낙조대(落照臺)·월성고지(月城高地)·매봉[鷹峰]·철모·깃대봉등의 경승지가 있으며, 

 충청남도 대둔산도립공원,  전북 대둔산도립공원 등으로 나뉘어 지정되어 있다.
동쪽 산기슭에는 옛 고을인 진산(珍山)이 있고 산중에는 산장과 구름다리·케이블카 등의 관광시설이 있다. 

대둔산 집단관광시설지구  : 전북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 

 

 

 

 

대둔산 동지(마천대)

 

대둔산 최초의 리지,'동지길'개척은 1960년말 전주지역 클라이머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후 바위에 열정적이고 패기넘치던 정은상(51세,전주대산악부OB), 오택영(49세,원광대산악부 OB)씨에 의해

 1982년 겨울 1박2일만에 재등, 정비됐다.
마천대리지로도 불리며 마천대 정상까지 오를수 있는 유일 코스다.
동지길은 기존의 8마디와 마천대측면의 4마디를 연결. 총 12마디로 되어있으며 난이도는 5.6급에서 5.10b급까지 다양하다.

 

 

 

 

 

대둔산 동지(마천대)길 리지라인 ▲

 

대둔산 동지(마천대)길 위치도 ▲

 

 

[들머리]

 

동지길 들머리는 대둔산입구에서 느새골 계곡을 따라 40여 분을 올라가면 동심바위 휴게소가 나온다
휴게소 바로위편 주등산로 동심바위 가기전에 왼편(골짜기)으로 해서 빠져야 하며
10분정도면 릿지 초입바위가 나타난다.

 

케이블카를 이용할 경우
케이블카 하차장에서 내려 1층으로 나와 우측 동심바위 방향으로 10분을 가면 동심바위 휴게소가 나온다.
하산은 마천대 정면벽을 등반하지 않고 오른쪽 계곡을 따라 내려오면  동심바위 휴게소와 만나고
마천대 정상까지 갔다면 금강구름다리를 거쳐 어느 쪽으로도 내려올 수 있다.
동심휴게소에서 바로 이어지는 등산로를 버리고 휴게소와 육각정사이 너들지대로된  골짜기로 계속 15분정도 올라가면
첫피치입구에 다다를 수 있다.

 

 

대둔산 동지(마천대)길 루트개념도 ▲

 

 

 

[동지길 등반정보]

 

동지길은 크게 3군데의 직벽을 넘어서는 것 외에 등반, 루트 파인딩 모두 어려운 것은 없다.


 

1피치(30m / 5.10b)는 경사 95도 정도의 페이스등반이며 처음 10m가 발란스 잡기가 까다롭다. 오른쪽모서리를 잡고 일어서면 쉽다.
이후 15m는 완경사 계단식 바위다.
불규칙한 크랙에 하켄이 4개 박혀있고 슬링이 걸려있어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불안하면 캠 등의 확보물을 더 설치하도록 한다.

2피치(11m / 5.7)는 짧은  계단식 바위를 오르고 좁은침니와 3m크랙을 지나 쉽게 걸어가면된다.
1피치와 2피치은 우회로로 돌아갈 수 있지만 마지막 벽은 모두 등반해야 된다.

3피치(20m / 5.7)는 넓은 크랙을 따라 좌우홀드를 찾아서 등반한다.
직벽크랙과 계단식크랙의 혼합구간이며 쉬운구간이다.

4피치 (15m / 5.7) 직벽3m로 시작 10m 슬랩으로 이어지는 쉬운구간이다.
오른쪽으로 돌아서 오르면 고도감은 있지만 쉽게 오른다.
이후 소나무에 중간확보하고 5m침니 크랙을 오른후 암각을 이용 4m 클라이밍 다운한다.

5피치 (10m / 5.6) 바위사이(골목구간) 구간으로 오버행 직벽크랙을 바로 오른후 소나무에 확보한다.

6피치 (5m / 5.7) 세로로 겹쳐진 겹바위크랙을 5m등반후 5m클라이밍 다운한다.

7피치 (10m / 5.10) 반침니를 출발해 중간 슬링을 이용해 일어선다.
상단 촉스턴을 잡고 일어서는것이 조금 어려운 구간이다.
등반후 50m걸어가면 7m하강지점이 나온다. 하강후 3m바위턱을 넘어 크라이밍 다운해 8피치 시작점으로 걸어간다.

8피치 (13m / 5.10) 시작3m는 약간 오버행 벙어리중간크랙을 넘는것이 어렵다.
볼트의 슬링을 잡고 좌측모서리를 잡은후 일어서면 누운소나무가 나온다. 그옆에 확보용볼트가있다.
등반후 15m쉬운슬랩오르면 확보용 볼트가 나오고 마천대 개척탑이 한눈에 들어온다.
2~3m 좀더가면 넓은 너럭바위로 잠시 휴식하는곳이다.
철계단과 개척탑을 배경으로 사진촬영이 용이한곳이다.
이후 뜀바위를 지나 암른지대와 산죽지대를 10분정도 오르면 9피치 시작점이 나온다.

9피치 (45m / 5.8) 작은 소나무를 향해 크랙과 스랩을 15m를 오르면 소나무 오른쪽아래에 볼트가 있다.
소나무에서 45도 왼쪽으로 5m오르면 두번째볼트다. 좀더오르면 확보용 확보용 쌍볼트가 보인다.

10피치 (20m / 5.8) 9피치 쌍볼트에서 슬랩성 페이스를 왼쪽으로 넘어서면 쉬운 슬랩과 크랙으로 이어진다.
등반후 13m하강하면 V안부를 만난다

11피치 (20m / 5.8) 왼쪽 턱을 넘어서 나무를 지나오르면 11피치가 시작된다.
물길크랙을 따라 15m 올라 소나무에서 한피치 끊는다.

12피치 (15m / 5.8) 반침니을 올라 크랙을 따라 10m오르면 넓은 암반이고 곧바로 정상이다
난간에 확보하면 모든 등반이 끝난다.

 

 

 

 

대둔산 동지(마천대)길 루트개념도 ▲

 

 

도랫굽이

http://blog.daum.net/ami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