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강시 빽업장치

2012. 7. 12. 20:2706.등반지식

 

하강시 빽업장치

 

   

 

 

하강 시 줄을 놓쳐 추락하는 경우 종종 보아 왔습니다. 한줄 또는 두줄 하강 시 줄을 놓쳤을 경우에 대비해

Backup system을 구축하면 이를 방지 할 수 있으나 그동안 하강 시 백업장치를 사용하는 사람을 주변에서

거의 보지 못했습니다. Backup System으로 Autoblock 매듭을 사용하면 하강 도중 줄을 놓아도 되고 매달린

채로 다른 작업도 할 수 있습니다.

프르직 매듭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오토블록 매듭을 하면 더욱 간단합니다. 주의할 점은 매듭이 하강기에 닿지

않게 길이를 짧게 하여야 제동이 됩니다.

사진과 같이 해보시기 바라며 하강 시 항상 이런 습관을 가지면 만수무강에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배낭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등에 지지 말고 안전밸트의 하강고리에 매달고 오토블록 매듭을 이용하여

내려오면 몸의 균형이 깨지지 않아 편하고 안전하게 내려올 수 있습니다.

 

 

8자 하강기의 새롭고 안전한 하강법중의 하나.

- 8자 하강기의 장점을 말한다면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그 중 몇가지만 알아보자.

- 고장이 없고 기계적인 작동부분이 없기때문에 다루기 쉽고, 비교적 싸서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 하강용으로 쓰일뿐 아니라 선등자나 후등자의 빌레이 장비로 사용 한다. 암벽등반가에게 쓰이는 장비중 하나다.

  • 단점도 많다. 예를 들어 하강도중 사진을 찍거나, 엉킨 줄을 풀 경우 두손을 모두 자일에서 놓아야한다.
  •  이 경우 자일을 하강기에 되감아 제동을 하고 다시 풀어서 하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  또, 하강중에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을 경우 스스로 제동이 되질않아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도 있다.  
  • 오른손은 "제동손" 왼손은 "감지손"의 법칙에 따라 아래 그림의 손 위치를 반대로 걸고 하강해봤습니다. 

        결과는 만족이었습니다.

     

    등강기 & 하강기 사용법

     

    1. 션트 사용 하강법.

     

  • 하강시 안전장치인 프르지크매듭션트입니다 

  •  [프르지크 매듭은 매듭법에서 참조하십시오]

     

     

     

     

    션트의 사용방법 : 오름짓을 할때는 따라 올라오다가 추락시 화살표 방향으로 그립이 아래로 당겨지며 줄을 잡습니다 

    (프르지크 매듭은 추락시에만 가능하고 스스로 따라 올라오지는 않습니다. --------------비상시 등강기능

     

     

    2. 리보소 하강법

      리버소REVERSO 

     

     

    1. 잠금비너가 3개가 필요.  슬링을 이용 하강기를 장착하면, 2개 잠금비너만 있으면 됩니다.  

     

     

     

    2. 기본적으로 리버소를 사용했을때 입니다.                           3. 외줄하강때 왼쪽 기본적인 사용법 오른쪽  갈수록  더 많은 하중이 걸립니다.

     

    3. 리보소 싱글로프 오버행 안전하강법

         에이티씨가이ATC-guide 튜브형하강기

     

    4A 선등자 톱로핑 발레이 / 4B 후등자추락시 자동제어기능 

     

     

    어느것이던 자신의 목숨을 지키기위해서 최선의 방법을 찾아내고 숙달시켜야합니다.

     

     

    하강시 주의할 점

     

    - 하강은 튼튼한 확보물이 있는 곳에서(절대 안전한 곳에서)

      • 나무 : 썩은 나무는 위험, 밑둥에 슬링을 건다

      • 암각 : 슬링이 빠질 염려는 없는지 확인

      • 피톤, 하켄, 볼트 : 썩었는지 확인, 슬링 확인

     

    - 하강 준비를 할 때에는 반드시 자기 확보부터 하고 나서 하강 준비를 한다.

    - 초보자들이 대개 출렁거리며 하강을 하는데 이는 손으로 자일을 조작하여 잡았다 놓았다 하면서 하강하기 때문이다.

    - 체중을 자일에 의지하고 발로 몸을 밀어주며 물 흐르듯 하강해야 한다.

    - 하강기에 거는 카라비너는 잠금 장치가 되는 것이 안전하며 하강기에 자일을 걸고 하강기에 몸을 완전히 의지하고

       나서 자기 확보줄을 회수하고 하강을 시작해야 한다.

    - 손의 위치는 오른손잡이의 경우 아래로 늘어뜨려져 있는 자일을 오른손으로 잡고 그 손으로 제동과 속도 조절을 한다.

    - 나머지 한 손은 하강기 바로 밑부분을 잡아 주면서 하강기의 뒤틀림과 보조 제동시 사용한다.

    - 왼손잡이의 경우는 밑의 자일을 왼손으로 잡고 제동과 속도 조절을 한다.

    - 하강중 넘어지더라도 절대 밑의 자일을 잡고 있는 손을 놓으면 안 된다.

    - 뒤쪽의 자일을 놓는다면 제동이 될 수 없으며, 자유 낙하하므로 위험하다.

    - 다시 한번 강조 한다면, 하강시 급하게 서두르지 막고 고속으로 내려가도 안 되고 점프나 출렁거려서도 안 된다.

    - 고속으로 1회 하강시의 마찰열로 인한 자일의 훼손은 대단함을 명심하고 침착하고 물 흐르듯 매끄럽게 자일에 의지하여

       하강해야한다.

    - 옷이나 머리카락 등이 하강기에 끼지 않도록 주의하며, 하강기는 늘 안전(잠금) 카라비너(링카라비나)와 같이 사용한다.

    - 외줄로 하강할 때는 8자 하강기의 작은 구멍에 자일을 끼워 사용한다. 줄을 한번 꼬아서 하강기에 설치한다.

    - 연속하강 (2피치 이상 하강)시 제일 먼저 하강한 사람이 회수할 줄을 하강용 링이나 피톤에 연결하여 양끝을 묶는다.

    - 다음 사람부터는 확보줄을 하강용 줄에 통과시키고 하강한다.

     

    회수해야할 줄이 어느 것인지 숙지하고 하강한다.

     

     

    ◈  비상시의 하강

    - 톱을 내려 보내고 라스트는 줄을 위로 잡아당겨서 확보물에 하중이 되도록이면 적게 걸리도록 한다

    - 톱은 밑에 내려온 뒤 튼튼한 확보물을 많이 설치 줄의 양끝을 연결하여 묶은 뒤 밑의 확보물에 통과

    - 라스트는 줄의 양쪽끝을 모두 팽팽하게 위로 당겨서 각각 벨트에 묶는다

    - 라스트는 줄 한동을 흔들거리는 하켄에 통과 클라이밍 다운한다

    - 톱은 라스트를 텐션으로 내려주는 동시에 빌레이

  •  

     

     

    '06.등반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확보  (0) 2012.07.12
    확보의 종류  (0) 2012.07.12
    등산의 종류  (0) 2012.07.12
    등산,등반용어  (0) 2012.07.12
    매듭법  (0) 2012.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