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7. 13. 16:07ㆍ07.암벽정보
만물상 릿지 지능.............
개요 : 록파티 산악회가 개척한 최고 난이도 최고 난이도 5.9-5.10b중급코스의 릿지.
만물상 주능은 크고 작은 여러개의 지릉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 유독 북쪽으로 암릉을 형성하고 있는 흘림골 입구 지릉은
칠형제봉 주릉에서 보면 마치 긴 삼각뿔 형태를 하고 있고 독립된 벽등반을 해야 하는 것처럼 보인다.
아래쪽 1/3 부분은 크랙과 숲지대가 지저분할 만큼 뻗어 있어 어렵지 않게 오를 수 있다. 그러나 그 위쪽 암릉은 전형적인
나이프 에지로서 상당한 고도감을 느끼며 등반하게 된다.
또한 이 지능 끝에는 만물상 주능 등반시 등반하게 되는 1002봉 앞 3개의 큰 봉우리와 만나게 되어 등반일정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주릉의 3개 봉우리를 등반하고 무명폭포에서 여신폭포로 넘어가는 일반등산로를 따라 하산할 수 있다.
만물상 지릉의 가장 큰 특징은 확보지점마다 나무나 암각 크랙이 양호해서 프렌드나 그 밖에 확보장비만으로도 안전하게
확보를 할 수 있어 볼트나 하켄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개척했다.
(만물상 지능은 오색에 개척한 7개의 리지 가운데 가장 어려운 코스로 5.10a 정도 되는 오버행 크랙을 넘어야 하고 개척 당시 볼트와 하켄 등 전구간에 고정 확보물을 전혀 설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확보장비와 암각 나무 등을 이용해서 확보를 봐야 한다)
들머리 : 강원도 양양군 서면 약수리(남설악 점봉산 오색)
남설악 점봉산(1,708m)은 오색약수와 오색온천으로 이름이 더 알려져 있다. 한계령에서 내려다보이는 남설악의 만경대와
만물상 칠형제봉의 기암괴석들은 외설악의 기운을 내려받은 듯 절경을 자아낸다.
등반 시작지점은 흘림골 입구에서 10분 정도 올라와 만나게 되는 넓은 막영지에서 일반등산로를 따라 3분 가량 오른
다음에(계곡 좌측 등산로로 건너자마자) 숲지대 사이로 희미하게 보이는 암릉에서 출발한다.
접근로보기1 접근로보기2
|
|
|
|
만물상 등반중 바라본 지릉 전경 |
칠형제봉에서 본 릿지 전경 |
등반길잡이 :
초입부분의 두 마디는 급경사의 꿀르와르에 자라고 있는 큰 나무들을 이용해 로프등반 없이 각자 오를 수 있다. 초보자가 있는
경우에는 안자일렌으로 오르는 것이 안전하다. 3피치 등반은 숲지대에서 슬랩상에 있는 짧은 사선크랙을 넘어 마지막 숲지대
까지 우측으로 25미터를 등반한다.
4피치는 숲지대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잡목들을 따라 35미터 크랙등반을 하는데 반침니를 올라 나무와 크랙을 이용해 확보한다.
5피치를 등반하기 위해선 3개의 평행한 수직크랙중에 한곳을 선택할 수 있지만 우측 크랙을 등반한다. 아래부분은 디에드르식
크랙으로 양호하나 10미터쯤 위에 있는 오버행 크랙을 넘어서기가 까다롭다. 중앙크랙을 지나 좌측의 넓은 반침니를 따라
20미터를 더 오른다. 5피치는 전체적으로 40미터를 등반하는데 상단부분 바위면에 이끼가 많아 주의를 요하며 암각이나 나무를
이용해서 확보한다.
6피치 등반은 확보지점에서 좌측으로 3미터 횡단하여 반침니 형태의 레이백 크랙을 10미터 가량 등반한 다음 나이프 에지의
칸테를 7미터 지나 4미터 정도의 클라이밍 다운을 한다. 아래쪽 반침니 크랙은 오른쪽 손과 발을 크랙 안에 넣고 재밍등반도 할
수 있지만 바위표면이 날카로워 둥그스름한 덧바위를 레이백으로 오르는 것이 깔끔하다. 작은 바위를 좌측으로 돌아 클라이밍
다운하여 쉽게 내려올 수 있으며 크랙에 확보물을 설치하고 다음 피치 등반을 준비한다.
13미터를 등반하는 7피치 인테 양호한 경사의 우측 크랙을 따라 슬랩등반 한 다음 삼각바위 우측 아래 암각에서 확보한다.
8피치는 만물상 지릉 등반중에서 가장 힘들게 지나야 할 구간이다. 마치 원효리지 개구멍 트래버스처럼 턱을 이용해 횡단해야
하는데 그 폭이 원효리지의 1/3 정도밖에 되지않아 자칫 균형을 잃으면 100여미터쯤 되는 오버행에 팸듈럼 추락하게 된다.
8피치 등반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암각에만 걸어놓은 확보지점을 보강하기 위해 최소한 캐밍장비 두개쯤을 크랙에 설치하여
다중방향 확보지점을 구축해 두는 것이 안전하다. 또한 팬듈럼 추락을 고려해서 트래버스 중에 중간확보물을 자주 설치하는
것이 좋고 큰 소나무가 있는 오버행 처마 밑으로 올라서기 전에도 작은 소나무나 확보물을 설치한 다음 턱을 넘는다. 이곳 처마밑
까지는 25미터를 트래버스 해야 하고 처마 밑 크랙에 확보물을 설치하여 확보를 한다.
9피치의 나이프 에지 구간을 슬랩 트래버스 하여 아래쪽 숲지대로 내려선다. 작은 바위 좌측에 있는 숲지대를 따라 10미터를
각자 오르고 안자일렌으로 만물상 지릉의 마지막 봉우리로 접근한다. 쉽지만 위험한 슬랩을 지나 위쪽 작은 숲지대로 오르고
우측의 작은바위를 우측으로 돌아 20미터의 쉬운 반침니를 등반하면 10피치 등반이 끝난다.
정상의 큰 보울더를 좌측으로 돌아 20미터 전진하면 리지 좌측으로 소나무에 하강지점이 설치되어 있다. 이곳에서 20미터
하강을 하면 만물상 지릉 등반이 끝나게 된다. (5피치의 크랙등반과 8피치의 크랙 트래버스가 등반 포인트)
등반시간에 여유가 있으면 바로 앞에 있는 돔형 바위쪽으로 접근해서 만물상 주릉의 마지막 세 봉우리를 등반할 수 있고 지릉을
우측으로 돌아 숲지대를 따라 흘림골 쪽으로 하산할 수도 있다. 흘림골까지의 하산시간은 30분이면 충분하고 흘림골 입구 도로
까지는 10분이 더 소요된다.
개념도보기
마디 | 등반거리 | 등반방식 | 경사도 | 난이도 | 소요장비 | 확보조건 |
하강거리 |
1 | 50 | 숲지대 각자등반 | 60~70 | 5.2 | 없슴 | 양호 | |
2 | 50 | 숲지대 각자등반 | 60~70 | 5.3 | 없슴 | 양호 | |
3 | 25 | 크랙 및 슬랩 | 60~80 | 5.8 | 캠어롯 2,3호 | 양호(나무) | |
4 | 35 | 크랙 및 반침니 | 70 | 5.6 | 캠어롯 3호 | 양호(나무) | |
5 | 40 | 크랙 및 슬랩 반침니 | 75~110 | 5.10b | 캠어롯 1,2,3호 | 양호(암각) | |
6 | 20 | 크랙 및 칸테 | 75 | 5.7 | 캠어롯 2,3호 | 불량(나무) | 클라이밍다운 4m |
7 | 13 | 크랙 및 슬랩 | 60 | 5.5 | 캠어롯 1,2,3호 | 양호(암각) | |
8 | 25 | 크랙 트래버스 | 80~90 | 5.9 | 캠어롯 1조 | 불량(크랙) | |
9 | 10 | 슬랩 트래버스 | 60 | 5.6 | 없슴 | 양호(나무) | 클라이밍다운 3m |
10 | 40 | 슬랩 및 반침니 | 65 | 5.5 | 없슴 | 양호(나무) | 하강 20m |
참조처:록파티산악회
사람과산 94년 10월호
'07.암벽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점봉산 전망대릿지 (0) | 2012.07.13 |
---|---|
점봉산 만경대릿지 (0) | 2012.07.13 |
점봉산 만물상릿지 주릉 (0) | 2012.07.13 |
점봉산 칠형제봉3봉 지릉 (0) | 2012.07.13 |
점봉산 칠형제봉2봉 지릉 (0) | 2012.07.13 |